스마트폰에서 비밀번호 자동 저장 끄는 법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로그인할 때마다 뜨는 “비밀번호 저장하시겠습니까?”라는 알림, 편리하긴 하지만 보안이 걱정될 때도 많습니다. 특히 공용 기기를 쓰거나 타인에게 기기를 빌려줄 일이 많은 경우, 자동 저장된 비밀번호로 인한 정보 노출 위험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이 글에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비밀번호 자동 저장 기능을 끄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1. 비밀번호 자동 저장 기능이란?
비밀번호 자동 저장은 구글이나 삼성 패스 같은 스마트폰 내장 서비스가 로그인 정보를 기억해주는 기능입니다. 처음 로그인할 때 입력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저장해두면, 다음 번부터는 자동으로 입력해줘 편리하게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기능이 켜져 있으면 기기를 잠금 해제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로그인 정보를 자동 입력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보안상 위험할 수 있습니다.
2. 구글 스마트락(Google Smart Lock) 끄는 방법
1) 설정 > 구글 > 자동완성 > 자동완성 서비스로 이동
2) ‘Google 자동완성’ 선택
3) ‘비밀번호 자동 저장’ 항목 비활성화
4) ‘저장된 비밀번호 보기’ 메뉴에서 기존 저장된 정보도 삭제 가능
또는,
1) 크롬 브라우저 실행 > 오른쪽 상단 점 세 개 메뉴 > 설정
2) 비밀번호 > 비밀번호 저장 제안 끄기, 자동 로그인 끄기
3) 저장된 비밀번호 목록에서 원하지 않는 항목은 직접 삭제도 가능
3. 삼성 패스(Samsung Pass) 끄는 방법
삼성 스마트폰의 경우, 삼성 패스가 비밀번호를 자동 저장합니다.
1) 설정 > 생체 인식 및 보안 > Samsung Pass 선택
2) 본인 인증 후 설정 아이콘(우측 상단) 탭
3) 자동 로그인 허용 해제
4) ‘로그인 정보’ 메뉴에서 저장된 사이트별 로그인 기록 삭제 가능
4. 저장된 비밀번호 삭제하는 방법
크롬 브라우저의 경우: 크롬 > 설정 > 비밀번호 > 저장된 목록에서 삭제
삼성 인터넷 브라우저의 경우: 삼성 인터넷 > 설정 > 개인정보 보호 > 자동완성 양식 데이터 삭제
구글 계정 전체에서: myaccount.google.com > 보안 > 비밀번호 관리자 > 저장된 항목 삭제
5. 비밀번호 저장 기능을 꺼야 하는 경우
공용 기기 사용 시
기기를 자주 분실하거나 타인과 공유하는 경우
회사 계정, 금융 사이트 등 민감한 정보 로그인 시
2단계 인증 없이 사용하는 경우
자동 저장은 편리하지만 중요 정보는 보안이 우선입니다. 신뢰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반드시 비밀번호 저장을 끄고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6. 보안을 높이기 위한 추가 팁
지문, 패턴, 얼굴인식 잠금 설정
2단계 인증 설정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
패스워드 관리 앱 이용 시에도 앱 잠금 설정하기
자동 저장은 실수로 정보 유출이 생길 수 있는 대표적인 보안 허점입니다.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이 기능을 꺼두고, 본인만 아는 방식으로 로그인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습관을 들이세요.